<h2>직무</h2><p>[데이터분석팀] Data Analyst</p><h2>포지션 상세</h2><p>"사업의 모든 순간. 더 쉽게, 더 빠르게, 더 똑똑하게"<br>한국신용데이터(KCD)는 사장님들이 사업을 시작하고, 운영하고, 성장시키는 모든 과정이 쉬워지도록 돕습니다. 사장님이 사업의 모든 순간 마주하는 문제를 데이터와 연결로 풀어내고 있습니다.<br><br>‘그래서 오늘 통장에 돈이 얼마나 들어올까’ <br>시작은 사장님들이 매일 하는 짧은 질문이었습니다. 2017년, 이 숫자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카카오톡 챗봇 기반의 매출 관리 서비스 캐시노트가 탄생했습니다. 이제 캐시노트는 매출 관리 기능을 넘어 고객 관리ㆍ금융ㆍ물품 구매ㆍ사장님 커뮤니티 등 다양한 영역으로 확장하며 동네 가게 사장님들을 위한 슈퍼 앱으로 자리 잡았습니다.<br><br>KCD의 첫 번째 핵심 가치는 ‘사장님에 대한 공감’입니다. 이를 바탕으로 사장님의 문제를 풀어가는 영역에서 늘 시장을 앞서 왔습니다. 모간스탠리 택티컬밸류(MSTV), 싱가포르 테마섹과 카카오, KB국민은행, KT, 신한카드, 삼성화재, GS, 두나무 등 업계 1위 기업들로부터 총 2,600여억 원의 투자를 받았고, 2022년 10월에는 창업 6년 만에 유니콘에 등극하였습니다. KCD는 여러 공동체사들과 함께 전국 약 200만 사업장에 서비스를 제공하며 국내 소상공인 대상 서비스 시장을 선도하고 있습니다. <br><br>KCD는 사업의 모든 순간, 누구나 기술 혜택을 누리는 세상을 꿈꿉니다. 이 여정을 함께할 동료를 기다립니다.<br><br>[데이터분석팀 소개]<br>데이터분석팀은 전국의 170만 사장님들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(장부, 금융, 마켓, 커뮤니티, 멤버십 등)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비즈니스 가치를 만들어 나가고 있습니다. 트랜잭션 데이터, 자연어 데이터, 앱로그, 금융 데이터 등 방대한 데이터 소스를 활용하며, 클라우드 기반 글로벌 스탠다드 분석환경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.<br><br>데이터분석팀의 Data Analyst는 사내 다양한 서비스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폭넓은 데이터 업무를 담당하고 있습니다. 사내 주요 데이터 파이프라인을 개발하는 것부터 서비스 인사이트를 도출하고,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을 지원하며, AI/ML을 활용한 데이터 프로덕트를 개발·운영합니다. 이를 통해 회사가 데이터를 전략적으로 활용하고, 혁신적인 데이터 서비스를 만드는 것에 기여하고 있습니다.<br><br>이런 분과 함께하고 싶습니다!<br>데이터로 문제를 해결<br>하고, 이를 통해 사업적 임팩트를 만들어내는 데 열정이 있는 분<br>새로운 기술의 주도적 학습과 지속적 성장을 통해 개인과 팀의 역량을 높이는데 관심이 많은 분<br>다양한 협업 부서와 원활히 소통하며, 책임감 있게 프로젝트를 리딩하며 팀의 성과를 함께 만들어갈 수 있는 분<br><br>팀에 합류하시면 DA/DS 포지션에서 할 수 있는 거의 모든 범위의 일을 경험해볼 수 있습니다. 이 과정에서 팀원의 분석 및 개발의 높은 자유도를 바탕으로 구성원이 주도적으로 업무를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, 데이터를 통해 만들어낸 결과물이 실제 비즈니스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실험할 수 있습니다.</p><h2>주요업무</h2><p>데이터 추출 및 파이프라인 구축<br>SQL, Python, Spark 등을 활용한 데이터 핸들링<br>워크플로우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ETL/ELT 파이프라인 설계·개선 및 데이터 엔지니어와의 협업<br>데이터 추출 및 전처리 업무 수행<br>데이터 파이프라인 설계 및 최적화, 대규모 데이터 처리 리딩, 기술적 멘토링<br>데이터 분석 및 의사결정 지원<br>다양한 부서의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파악하고 가설 수립·통계적 접근을 통한 인사이트 발굴<br>통계 분석, 실험 설계(A/B 테스트), 데이터 시각화(Tableau 등)를 통한 인사이트 제공<br>기본 분석, 지표 모니터링 및 리포팅<br>전략적 의사결정을 위한 심화 분석, 머신러닝 기법 활용<br>데이터 기반 서비스 및 모델 개발<br>캐시노트 데이터 기반 서비스를 위한 추천, 예측, 분류 머신러닝 모델 개발<br>LLM 등 AaaS를 활용한 내부 업무 효율화 및 유저향 서비스 프로덕트 발굴<br>모델 개선 및 운영 보조, 시각화 및 모니터링<br>모델 기획 및 모델 라이프사이클 관리, MLOps 환경 주도, 서비스 모델 성능 책임<br>데이터 민주화 및 운영 효율화<br>사내 데이터 유통 관리 및 전략 수립을 통한 데이터 문화 개선<br>데이터 인프라 최적화 및 공통모듈 개발을 통한 업무 효율화<br>데이터 관리 및 운영 프로세스 참여<br>코드 리뷰 및 글로벌 스탠다드 인프라 전략 주도</p><h2>자격요건</h2><p>데이터 관련 전공(통계학, 컴퓨터공학, 산업공학, 수학 등) 또는 이에 준하는 경험<br>SQL, Python을 활용한 데이터 처리 및 분석 역량<br>ML/DL Framework 사용 경험 (Sklearn, Pytorch, Tensorflow 등)<br>데이터 시각화 및 리포팅 툴(Tableau, Power BI 등) 활용 경험<br>원활한 커뮤니케이션 및 협업 역량, 논리적인 사고력<br>3~7년 내외 데이터 분석, 데이터 사이언스 또는 관련 경력<br>기본적인 데이터 추출, 전처리, 시각화 및 리포팅 경험<br>기초 통계, 머신러닝 모델에 대한 관심과 적극적인 성장 의지와 협업 능력</p><h2>우대사항</h2><p>대규모 데이터 처리(Spark 등) 및 ML 모델 개발 경험<br>주도적 프로젝트 수행 경험 및 데이터 기반 전략적 사고 능력<br>클라우드 환경(AWS, GCP, Azure 등)에서의 데이터 분석 및 ML 운영 경험<br>데이터 파이프라인(ETL/ELT) 설계 및 구축 경험 (Airflow, Luigi, Databricks, DBT 등)<br>다양한 데이터 유형(tensor, matrix, timeseries, json, unstructured)과 데이터베이스(NoSQL, Vector DB 등)를 활용한 복합적인 데이터 처리 경험<br>통계 분석 및 실험 설계(A/B Testing) 지식과 실무 적용 경험<br>MLOps(MLFlow, Kubernetes, Prometheus, Grafana 등)에 대한 이해 및 실제 적용 사례<br>대규모 트래픽 서비스에서 로그 데이터 분석 및 성능 모니터링 경험<br>AI 오픈소스(HuggingFace, LangChain, LlamaIndex 등) 또는 AaaS (Bedrock, ChatGPT, Text2SQL, AI Agent 등)를 활용한 서비스 개발 경험<br>데이터 기반 프로덕트의 API 설계, 프로토타입 개발 및 서버 운영 지식 (FastAPI, Flask, Docker 등)</p><h2>혜택 및 복지</h2><p>소수 정예로 확장 가능한 사업을 영위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을 들여 최고 수준의 역량을 보유한 분을 모시고 있습니다. 가파른 성장과 안정적인 재무구조는 경쟁력 있는 보상 수준을 지속할 수 있게 해주기에 업계 최고 수준의 보상 및 건강한 복지제도를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.<br><br>한국신용데이터의 복지는 Physical, Mental, Financial 이 세가지에 주안점을 두고 있으며, 구성원들이 업무에만 몰입할수 있는 환경 조성에 힘쓰고 있습니다.<br>• 2년주기 언제든 연계제휴병원에서 가족 건강검진(배우자 부모님까지) 프로그램 제공<br>• 입사시 구성원 실손의료비보험 가입 제공<br>• 전국최대규모 심리상담업체를 통한 심리상담 프로그램 제공<br>• 구성원 개인의 재무적 건강을 위해 전문업체를 통해 세무/재무 컨설팅을 지원<br>• 쾌적한 공간: 공기질 모니터링(Awair Enterprise)과 공조 준자동화, 분리수거 공간 일 2회 정돈 등<br>• 업무공간의 생산성: 회의공간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장치 구비(유/무선 연결, 어댑터 여분, 판서도구와 배선정돈), 조명 등<br>• 최신형 업무 장비 제공: 최신형 노트북 선택, 듀얼모니터, 스탠딩데스크 등 장비 제공<br>• 주차: 오피스 건물내 주차 또는 개별 주차장 주차시 주차비 일부지원<br><br><br>[인재영입 과정]<br>• 경력 위주로 작성된 지원서(이력서 및 경력기술서 or 포트폴리오)를 준비하고 지원하기<br>• KCD 인재영입 매니저와의 Tea Time<br>• 지원자와 해당 포지션의 Hiring Manager가 서로를 알아가는 시간인 Casual Talk<br>• 인재영입 Mini Project<br> - 지원하신 분야에 관계된 작은 프로젝트를 드리고, 해당 프로젝트 결과물을 중심으로 직군인터뷰 절차를 갈음 합니다.<br> - 지원하신 분이 재직 중임을 전제했을 때 주중 저녁과 주말에 시간을 내신다면 통상적으로 1~2주 내외(10~20시간)가 소요됩니다.<br> - 결과와 무관하게 소요하신 시간에 대해서는 적합한 보상을 해드립니다.<br> - 완성된 프로젝트 구현 결과를 중심으로 해당 팀과 함께 랩업미팅을 진행합니다.<br>• Team Interview<br> - 협업이 있는 타부서 리더 및 CEO가 참석하는 최종 인터뷰를 진행합니다.<br><br><br>※ 모든 절차는 오피스 방문 없이, 화상으로도 진행 가능합니다.<br>※ 상세 프로세스는 서류합격자에게 별도 안내 예정입니다.<br>※ 상황에 따라 프로세스가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.</p>




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