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h2>직무</h2><p>IT Technical Project Manager (3년 이상)</p><h2>포지션 상세</h2><p>"전 세계의 개발팀을 선순환 생태계를 통해 클라우드화합니다."<br><br>소프트스퀘어드는 '그릿지' 서비스를 통해 고객에게 최적화된 개발팀을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고객의 IT 인적 자원 문제를 해결해오고 있는 팀입니다<br><br>그러나, 고객사에서 직접 개발 팀을 운영하기에 전문성이 부족하시거나 턴키(도급형)로 외주를 맡기는 경우 당사에서도 직접 프로젝트를 관리하고, 프로젝트를 수주하여 운영해오고 있습니다.<br><br>본 JD는 리모트로 빌딩된 팀을 관리하여 고객사의 프로젝트 성공을 책임지는 TPM (Technical Project Manager) 분들을 모시는 공고입니다.<br><br>TPM 은 그 중에서도 특히 IT 기술 역량이 많이 요구되는 프로젝트에 배정되어 활동합니다.<br><br>• TPM (Technical Project Manager) 역할<br><br>그릿지의 TPM 은 할당 받은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기 위한 제안서 작성부터, 납기까지 책임지는 역할입니다.<br>* 영업팀이 초도 미팅 및 리드 전환을 이끌고, TPM 의 경우 요구사항 정의 단계 부터 참여합니다.<br><br>TPM은 원격 개발팀을 관리하며, 팀 규모는 1명에서 최대 30명까지 다양하게 조정하며 고객사의 프로젝트를 완수합니다.<br><br>TPM 은 이러한 직무를 통해 당사에서 아래와 같은 경험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<br><br>• 다양한 기업의 프로젝트를 접하고, 구축하는 경험<br>• 배울 수 있는 동료들 간의 기술적 교류<br>• 고도화된 IT프로젝트의 가시적인 관리 경험</p><h2>주요업무</h2><p>• 주요 책임<br>1) 제안서 및 요금 시뮬레이터 작성 : 영업팀과 협조하여 고객사의 요구사항을 기반으로 마일스톤 및 투입인원, 수행계획을 작성하여 비딩에 참여합니다.<br>2) 프로젝트 완수 : 고객사와 개발팀 간의 소통을 주도하며,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합니다.<br>* 그릿지 PMS (Project Management System) 을 활용해 산출된 매출 총 이익율을 유지할 책임이 있습니다.<br>3) 인력 평가 및 배치: 팀 운영에 필요한 인력의 역량을 평가하고 적합한 포지션에 배치합니다.<br><br>• 추가 역할<br>1) 그릿지 PMS 고도화 기여 : 프로젝트 수행을 통해 쌓인 노하우를 그릿지 시스템에 적재하여 이슈 대응에 대한 표준 정립에 기여합니다.<br><br>* 본 직무는 불가피한 경우를 제외하고 100% 원격 근무가 가능합니다. 해외 거주 및 워케이션 병행 모두 가능합니다.<br>* 투여되는 프로젝트의 경우, IT전문성을 깊게 요하는 프로젝트에 투여하도록 조정합니다.</p><h2>자격요건</h2><p>다음은 당사에서 체크하고 있는 TPM 의 주요 역량 체크 리스트입니다.<br><br>직무 역량 검증에서 해당 체크 리스트에 해당하는 경험과 통찰을 여쭤볼 예정이며, 본 질문에 어느정도 답 할 수 있다고 판단되시는 경우 경력 무관하게 지원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.<br><br><<TPM 의 주요 역량 체크 리스트>><br><br>A. 관리 부문 - 마일스톤(WBS) 파트<br><br>1) 마일스톤내 과업 공수 산정을 충분히 신뢰성있게 작성할 수 있는 분<br>2) 마일스톤내 작업자의 Idle Time(유휴시간)을 최소화 하여 관리하실 수 있는 분<br>3) 마일스톤내 우선순위가 가치 중심적(MVP)으로 효율적으로 구성하실 수 있는 분<br>4) 기술적 부채를 해결하기 위한 버퍼나 공수 산정을 고려하여 프로젝트를 관리하실 수 있는 분<br><br>B. 관리 부문 - 리소스 관리 파트<br><br>1) 작업자들이 주당 합의 시간에 맞게 과업을 수행하실 수 있는 분<br>2) 작업자들에게 협의된 과업 범위 내에서 과업 지시를 하실 수 있는 분<br>3) 작업자들의 Idle Time (유휴시간)을 최소화 하여 운영하실 수 있는 분<br>4) 작업자들의 역량을 부문별(커뮤니케이션, 생산성, 업무처리능력, 사고력, 책임감)로 설명할 수 있고, 역량에 맞게 과업을 지시하실 수 있는 분<br>5) 작업자들이 마일스톤(WBS) 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원인을 설명할 수 있고, 해결책을 충분히 제시할 수 있는 분<br><br>C. 관리 부문 - 리더십 파트<br><br>1) 작업자들이 TPM을 믿고 따를 수 있는 카리스마적 리더십을 구사할 수 있으며 작업자 스스로 WBS가 밀리거나 마감에 대한 심적 부담을 갖도록 하실 수 있는 분<br>2) 작업자들이 과업을 열심히 수행해야만 하는 동기를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 분<br>3) 작업자들에게 TPM이 지시하지 않은 부문이라도, 주체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주도성을 부여할 수 있는 분<br>4) 작업자에게 지지적 피드백과 교정적 피드백을 적절하게 섞어 소통하며, 필요시 직접적 대립을 기반으로 완전한 솔직함으로 소통하실 수 있는 분<br>5) 작업자가 부족한 역량에 대해 개선점을 모색하고, 필요시 커리어 성장을 위한 솔루션을 적용하실 수 있는 분<br>6)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할 때의 예상되는 이슈를 리스트업 할 수 있고, 해당 이슈를 맞닥뜨리기 전에 미리 이슈를 해결해 놓을 수 있는 분<br>7) 작업자들이 수행하는 과업 범위가 중구난방으로 바뀌지 않고, 효과적으로 과업 지시를 하실 수 있는 분<br>8) QC/QA 에 대한 전문성을 보유하고, 직접 혹은 위임하여 시나리오 테스트를 수행할 수 있는 분<br>9) 예상치 못한 일이 발생했을 때에 작업자나 클라이언트와 협상한 이력들을 설명할 수 있고, 협상의 우위를 점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분<br>10) 불 필요한 회의나 커뮤니케이션을 최소화하고, MECE(Mutually Exclusive Collectively Exhaustive) 하게 과업을 지시 할 수 있는 분<br>11) 작업자의 직무 역량(node.js, UI/UX 등)에 대해 최소한의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며, 작업자의 산출물을 분석할 수 있는 역량을 보유하고 있는 분<br><br>D. 관리 부문 - 보고 파트<br><br>1) 매일 동기화를 해야하는 작업을 진행할 때, 작업자들이 누락이 빈번하게 발생한다면 작업자들에게 어째서 동기화를 해야하는지(why)와 함께 명확한 솔루션(how)을 제공할 수 있는 분<br>2) 작업자들이 정기회의 등의 자리에서 본인의 작업 내용을 솔직하게 드러내지 못하는 경우, 작업자의 실제 작업 정도를 파악하고 작업자들의 솔직함을 이끌어낼 수 있는 분<br>3) 클라이언트에게 중간/최종 공유를 할 때, 산출물에 대한 솔직한 공유를 하되, 팀의 노고를 충분히 녹여내어 돋보이게 전달을 할 수 있는 분<br><br>D. 세일즈 부문<br><br>1) 우리의 요구사항의 장점과 단점을 상대방에게 잘 설명할 수 있는 분<br>2) 상대방의 요구사항 속의 숨은 의도를 파악해 해당 의도를 채워줄 수 있는 대안을 우리의 요구사항을 자연스럽게 포함해 3가지 이상 제시할 수 있는 분<br>3) 상대방이 듣고 싶은 말과 보고 싶은 모습을 파악해 나의 페르소나를 상대방에 맞춰 전환시킬 수 있는 분<br>4) 판 뒤집기 전략 등을 통해, 상대방에게 반론을 제기해야하는 경우에도 맞은 편에서 싸우지 않고 상대방에게 도움을 주고 있다는 뉘앙스를 줄 수 있는 분<br>5) 상대방에게 정말로 도움이 되는 항목은 A가 아님에도 A를 원한다고 의견을 표출할 때, A가 상대방이 원하는 바가 아니라는 사실을 설득할 수 있는 분<br>6) 상대방이 우리의 요구사항을 찾게 되도록 상대방이 눈치채지 못하게 넛징할 수 있는 분<br>7) 상대방과 대화하는 과정에서 나를 깔보게하지 않으면서도 나보다 상대방이 더 중요한 사람이라고 느끼게 할 수 있는 분<br>8) 상대방은 나를 보며, 재미가 있는/존경 하는/배울 수 있는/얻을 게 있는/이익이 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게 만드실 수 있는 분<br><br>E. 개발 기획 부문<br><br>1) 웹 기반 제품 개발에 필요한 기술 스택에 대한 프론트/백엔드 전반적인 이해도 (react, spring-boot, aws) 가 있으신 분<br>2) 다양한 브라우저와 디바이스에서의 UI/UX 일관성을 확보하고, SEO 최적화를 준수하며 퍼블리싱의 완성도를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신 분<br>3) 코드 품질 관리 및 리뷰 경험 및 품질을 검토 할 기준을 수립 할 능력이 있으신 분<br>4) 기술 부채 발견 및 리팩토링 경험을 통해 기존 시스템의 유지보수와 최적화를 진행한 경험<br>5) 프로젝트의 복잡한 문제를 진단하고 해결할 수 있는 분석력과 전략적 접근 능력이 있으신 분<br>6) 다수의 프로젝트 경험을 통해 웹 템플릿 코드를 설계하고 작성하여, 신규 구축 프로젝트 시 반복적인 코드 작성의 비효율성을 제거하고 개발 효율성을 극대화한 경험을 보유하신 분<br>7) 프로젝트의 시스템 구성도를 그릴 수 있으며 구성도에 따른 장단점을 설명할 수 있는 분<br>8) 사용되는 3rd Party API 나 Library, API에 대해 숙지하고 장 단점을 설명할 수 있는 분<br>9) CSR, SSR, API, Aws, Back-end, Front-end, Cross-Platform 등의 개발 용어를 그룹화하고 효과적으로 소통할 수 있는 분<br>10) 아이템 내 핵심 기능에 대한 알고리즘이나 설계 로직을 플로우차트로 그려 설명할 수 있는 분<br>11) 아이템을 유지보수하거나 트래픽이 증가해 Scale-Up을 해야할 때, 어떤 작업자를 involve 해야하고 설계를 변경해야하는지 설명할 수 있는 분<br>12) 클라이언트에게 작업 현황에 대해서 공유를 할 때, 기존 내용과 변경된 내용에 대한 근거와 함께 진행 현황을 공유할 수 있는 분</p><h2>우대사항</h2><p>1. 대규모 프로젝트 리딩 경험<br>• 복잡한 구조와 다수의 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프로젝트에서 리더십을 발휘한 경험<br><br>2. 테스트 자동화 경험<br>• 유닛 테스트, 통합 테스트 등 테스트 자동화 도구(Jest, Mocha 등)를 사용한 경험<br><br>3. DevOps 문화 이해 및 도입 경험<br>• 개발과 운영의 협업을 증진하는 DevOps 원칙을 이해하고 실무에 도입한 경험<br><br>4. 오픈소스 기여 경험<br>• GitHub 등 오픈소스 프로젝트에서 활동한 기록이 있거나 기여한 경험<br><br>5. 웹 성능 최적화 경험<br>• 웹 성능 분석 도구를 활용하여 최적화 작업을 수행한 경험</p><h2>혜택 및 복지</h2><p>혜택 및 복지<br>• 근무환경 : 온/오프라인의 자유로운 근무 환경<br>• 근로시간 : 간주근로제 / 자유출근제 (3개월 온보딩, 수습 기간동안 주 3회 필수)<br>• 사내문화 : 닉네임제를 사용하여 수평적인 문화<br>• 사내 교육 프로그램 지원 및 할인 혜택 : 라이징캠프 교육 50% 할인<br>• 자기개발 지원 : 자기개발 강의 지식 나눔시 최대 50,000원 환급<br>• 중소기업청년대출 지원 : 중소기업청년 대상자 진행 가능<br>• 간식 맞춤형으로 무한제공 : 스낵24 배송<br>• 각종 이벤트 지원 및 행사 진행 : 명절, 할로윈, 크리스마스 등 이벤트 진행 및 선물 지급<br>• 생일선물 지원 : 생일 24를 통해 본인이 원하는 선물 배송<br>• 전사/부서 플레이샵 지원 : 분기별 1회 지원<br>• 온보딩/입,퇴사키트 지원 : 입사 기념 온보딩 지급, 퇴사 선물 증정<br>• 사무실 근무 시간만큼 시프티 포인트 축적, 주 40시간 사무실 근무 시 아래 항목 연 100만원 한도 내 포인트 자유 사용 가능<br>• 팀 회식비 지원<br>• 팀 여행비용 지원<br>• 부모님 식사 대접 비용지원 (분기 1번 제한)<br>• 경조사비 지원</p>







