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h2>직무</h2><p>Public Cloud Engineer (Dev-Ops Engineer)</p><h2>포지션 상세</h2><p>"바로고는 세상의 모든 물류를 중계하기 위해 존재한다."<br><br>바로고는 플랫폼을 통해 '배달이 필요한 고객' 과 '배달을 수행하는 파트너' 모두에게 더 큰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 우리의 목적입니다. <br>바로고는 나눔과 상생을 기반으로 고객과 파트너, 나아가 사회의 행복 총량을 높이는데 기여합니다.</p><h2>주요업무</h2><p>[우리팀 소개]<br>바로고 R&D센터에 소속되어 있습니다.<br>우리는 반복되는 업무 자동화, 서비스 가시성 확보, 기존 인프라 유지보수 및 개선, 개발팀지원 업무를 담당합니다.<br><br><br>[저희팀에서 일하는 방식은]<br>공유 ->방향성 세팅/Align -> 해결방법/솔루션 선정 -> 협업/공유 -> 문서화/피드백의 형태로 일합니다.<br>팀원간 목표를 Align하고 공감대를 형성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.<br><br><br>[SRE Cell 기술 스택은?]<br>• Common : kafka on k8s (server 간 통신 에서 주요 하게 사용 중이고, log pipeline 에서도 kafka 를 통해 log data 가 흘러가게 됩니다.)<br>• AWS Resource 관리 : Terraform<br>• Server 운영 : EKS(1.28), argocd + helm(yaml 자체를 이용 하는 resource 도 있습니다.), ingress nginx(k8s 외부에서 인입 되는 traffic 제어)<br>• Monitoring & Alert : prometheus + thanos + grafana<br>• Logging & Alert & APM : elasticsearch<br>• OIDC : dex<br>• Secret 관리 : vault<br>• CI / CD : Jenkins in k8s (DooD(Docker Out Of Docker) for CI) , Argocd(gitops)<br>• Performance Test : locust 상시 운영, 필요 시 관련 Resource 들을 복제 후 테스트<br>• Data infrastructure 관리 : airflow(data workflow 도구), redash(BI), emr(spark, hive, presto), athena(sql engine), s3(data lake)<br><br><br>[주요업무/현재 저희가 하고 있고 해야 되는 일은?]<br>• 위 기술 스택의 모든 기술들을 운영 관리 해요<br> - version upgrade & 확장성과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개선<br><br>• 측정 가능한 시스템 구성<br> - Logging & Monitoring <br> - Performance Test<br> - 개발자들이 현재 시스템에 상황을 지속적으로 추적 가능한 환경을 구성<br><br>•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빌드 배포<br> - 개발자들 본인이 개발한 서비스를 직접 빌드 배포 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성<br> - 개발자들도 서비스 발전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을 수 있는 환경 마련<br> - 안정적인 배포를 위해 배포 관리 주체가 별도로 정의 될 수도 있음<br><br>• 개발 조직 지원<br> - 능동적인 개발 조직 지원을 위해 시스템에서 개발 되어진, 개발 중인 개발 코드를 최소한 읽을 수는 있어야 함 (구조 정도는 파악 가능 해야함)<br> - 개발에 집중할 수 있도록 개발 프로세스 내에 수작업은 최대한 자동화 되어야 함<br> - 개발 조직과 원활한 의사소통을 통한 협업을 지속적으로 수행<br><br>• Data Infrastructure 운영<br> - SRE Cell 에서는 Data Infrastructure 를 같이 운영 관리 하고 있어요.<br> - 현재 수준에서는 가능 하지만 data infrastructure 영역이 더 커지고 전문화 되면 분리될 예정이에요<br><br>• 현재 진행 하고 있고 진행 해야 할 일 들은,<br> - ISMS 인증심사 후속조치<br> - CI/CD 고도화(신규 배포방식 지원 등)<br> - 서비스 가시성 향상(otel, metric, apm)<br> - 비밀 관리를 위한 secret 관리 툴 도입</p><h2>자격요건</h2><p>• 해당 직무의 리딩이 가능한 수준 (5년 이상)<br>• AWS Resource 에 대한 이해도<br> - default VPC 가 아닌 별도의 VPC 를 구축해본 경험<br>• Terraform 기반의 Infrastructure as Code 경험<br>• k8s 에 대한 이해도<br> - master node 와 worker node 의 역할을 구분<br> - 외부 트래픽 부터 pod 까지 프로세스에 대한 이해도<br>• Linux 환경에서의 서비스 운영 경험<br>• CI / CD 환경 구축 및 운영 경험<br> - git branch 전략 경험<br> - CI 와 CD에 대한 Core 지식<br>• python, javascript, java 등 하나 이상의 언어를 활용한 개발 경험<br>• 네트워크에 대한 기본 지식<br> - CIDR 에 범위에 포함 되는 IP를 파악할 수 있는 수준의 이해도</p><h2>우대사항</h2><p>• 분산 처리 아키텍처 및 kafka 운영에 대한 경험<br>• 현재 기술에 대한 완벽한 이해도는 없어도 배워서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다는 자신감<br>• 공통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현재 해야하는 일을 스스로 찾는 분<br>• Infra Engineer 의 역할은 각 서비스 개발자, 엔지니어들이 개발에만 집중을 할 수 있는 Infra 환경을 만드는 것이라는 것에 공감하시는 분<br>• DevOps 라는 문화에 대해 이해하고 진행/전파하려는 의지가 있으신 분<br>• 진행 중인 업무에 대해 Tutorial, Trouble shooting 등 문서 작성의 생활화<br>• 장애가 없는 것 보다 동일한 장애를 두 번 이상 겪지 않는 것이 더 중요하다라는 것에 공감하시는 분<br><br>[저희 sre cell 에서 장애를 대하는 태도는 아래 와 같아요.]<br>• 시스템 관점에서 실수 또는 장애를 관리 되도록 노력해요<br>• 실수를 하기 어렵게 만들거나 (CI / CD)<br>• 실수를 하면 바로 알 수 있도록 만들거나 (Logging / Monitoring Alert)<br>• 실수를 했을 때 피해가 적도록 만들어야 함 (확장성 있고 유연한 시스템 아키텍처)<br> - 서버가 죽더라도 바로 재시작 해서 살아 나게끔 하거나 (Self Healing)<br> - 서버가 죽더라도 다른 서버가 존재 하여 요청은 처리 되게끔 처리 하거나 (확장성)<br> - 서버를 역할 별로 적절히 분리 하여 장애가 전체 시스템으로 전파 되지 않게끔 구성 (유연)</p><h2>혜택 및 복지</h2><p>[혜택 및 복지]<br><효율적인 업무 환경을 제공해요.><br> ㆍ월요병 No! 월요일 13:00 까지 자율 출근<br> ㆍ화 ~ 금요일은 시차출퇴근제로 여유있는 시간 활용<br> ㆍ사내 카페테리아, 전문 바리스타의 음료 무제한 제공<br> ㆍ직급없이 "님"으로 소통<br> ㆍ자유로운 연차 사용<br> ㆍ불가피한 야근시, 야근식대 및 택시비 지원<br><br><생활 속, 소소한 것 까지 지원해요.><br> ㆍ여가/자기계발 등을 위한 복지포인트 (연 60만원)<br> ㆍ건강검진 지원 (격년/직계가족 1인 검진비용 50% 추가지원)<br> ㆍ각종 경조금 및 경조휴가<br> ㆍ자녀출산 선물 및 경조금, 자녀 입학축하금<br> ㆍ해피 패밀리 수당 (자녀 수에 따라 최대 월 40만원)<br> ㆍ장기근속 포상 (최대 리프레시 휴가 7일과 지원금 400만원)<br> ㆍ임직원 특화대출제도 운영<br><br>[전형절차] 서류접수 - 실무 면접(1차) - 임원 면접(2차) - 입사<br> • 전형절차는 일정 및 상황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. (실무과제/비대면 면접 등)<br> • 각 전형 별 일정은 합격자 대상으로 개별 안내합니다.<br> • 지원서 또는 제출 서류상 허위 사실이 있는 경우 채용이 취소될 수 있습니다.<br> • 취업보호대상자 및 장애인, 국가보훈대상자는 관련 법령에 따라 우대합니다.<br><br>[회사 주요 연혁]<br> • 2023. 09. ‘2023년 인적자원개발 우수기업 인증제’ 최우수 기업 선정<br> • 2022. 05. 바로고 리브랜딩 “Meta Logistics”<br> • 2022. 01. 500억원 규모 시리즈 C 브릿지(Bridge) 후속 투자유치<br> • 2021. 12. 100억원 규모 시리즈 C 브릿지(Bridge) 투자유치<br> • 2021. 06. 800억원 규모 시리즈 C 투자유치<br> • 2019. 12. 예비유니콘 선정<br> • 2019. 06. 120억원 규모 시리즈 B 투자유치<br> • 2018. 05. 시리즈 A 투자유치<br> • 2015. 02. 바로고 법인설립<br><br><br>바로고는 아래의 목적으로 개인정보를 수집 및 이용하며, 회원의 개인정보를 안전하게 취급하는데 최선을 다합니다.<br><br> • 개인정보수집 및 이용에 대한 안내<br> 1. 목적 : 지원자 개인 식별, 지원의사 확인, 입사전형의 진행, 고지사항 전달, 입사 지원자와의 원활한 의사소통, 지원이력 확인, 지원자 정보 통계 활용, 상시채용을 위한 인재풀 등록<br>수집<br>2. 항목 : 성명, 생년월일, 이메일 주소, 휴대폰 번호, 이력 및 경력기술서 기재 사항, 과거 지원 이력 및 경로, 현재 처우 및 희망 처우 정보 등<br>3. 수집 대상 제외 항목 : 주민등록번호 및 『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4조의3(출신지역 등 개인정보 요구 금지)』에 명시된 정보<br>4. 보유기간 : 지원 시점으로부터 1년까지 보유<br><br> 위 개인정보 수집에 대한 동의를 거부할 권리가 있으며, 동의 거부 시에는 지원자 등록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.<br><br> • 채용서류 반환 고지<br> 채용절차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 제11조(채용서류의 반환 등) 』에 의거하여, 채용 과정에서 오프라인으로 제출하신 서류의 반환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.<br> 반환청구서 제출이 확인된 이후 요청 서류를 등기우편으로 발송드릴 예정이며, 당사자가 서류 반환을 청구하지 않거나 홈페이지 또는 전자우편으로 제출된 경우, <br> 구직자가 구인자의 요구 없이 자발적으로 제출한 경우에는 바로고 개인정보처리방침에 따라서 파기됩니다.</p>






